닥터앙쥬 전문가 Q&A

Care 믿고 따라 하는 신생아 여드름 관리법

보송보송한 아이 얼굴에 오돌토돌 좁쌀만 한 뾰루지들이 올라왔다. 생긴 모양은 영락없는 여드름! 사춘기 소녀도 아닌 신생아에게 여드름이 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했던 초보맘은 당황스럽기만 하다. 신생아 여드름의 원인과 관리법을 소개한다.

신생아도 여드름이 난다고요?!

신생아의 20%에서 발생하며 생후 30일 이내에 얼굴, 가슴, 등, 엉덩이에 10대들에게 주로 생기는 여드름이 여기저기 흩어져 나타나는 증상을 ‘신생아 여드름’이라 한다. 보통 생후 2주경 발생하며 콧등과 뺨에 작은 염증성 발진으로 나타난다. 일부 발진은 며칠 뒤 고름이 잡히기도 하는데, 3개월 이내에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아주 드물게 수개월 이상 지속되기도 하는데 이때는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야 한다.
생후 한 달도 안 된 아이의 피부에 여드름이 나는 것은 엄마로부터 받은 호르몬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여드름이 있는 신생아의 혈액속에 모체에게서 받은 안드로겐(남성호르몬 혹은 그와 비슷한 성질의 물질)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생후 3개월까지 아이 피부의 피지 분비는 엄마에게서 전달받은 호르몬에 피지샘이 자극받아 발생한다. 또한 건강한 피부에 존재하는 말라세지아 곰팡이도 영향을 준다. 남아에게서 신생아 여드름이 많이 관찰되는 것은 유전적 요인이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신생아 여드름 관리법

HOW-TO 짜거나 손대면 안 돼요
신생아 여드름은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3개월 이내 호전되므로 손으로 만지거나 짜면 안 된다. 자칫 잘못하면 2차 세균 감염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고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염증 부위에 고름이 생기면 손으로 만지거나 짜기보다는 자연스럽게 터지게 놔둔다. 증상이 심하거나 3개월 이후에도 지속되어 칭얼댄다면 가까운 피부과 또는 소아청소년과에 방문해 진료를 받는다. 필요한 경우 항생제 연고 같은 국소 도포제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증세가 심하지 않다면 생활 습관 개선으로 나아지기도 한다.

HOW-TO 가벼운 목욕으로 관리해요
신생아 여드름은 피지 분비가 주원인이기 때문에 하루에 한 번 정도 유아용 세정제를 이용해 가볍게 씻기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때 목욕 타월을 이용하는 대신 손으로 가볍게 거품을 낸 후 물로 충분히 씻어주는 것이 좋다.

HOW-TO 적정한 보습이 필요해요
목욕을 마치면 물기를 잘 닦고 바로 보습제를 발라준다. 보습제는 가벼운 로션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베이비오일처럼 유분이 많은 제품은 피한다.

HOW-TO 실내 온·습도를 유지해요
권장하는 온·습도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나 온도는 22~23℃, 습도는 40~50%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신생아 여드름과 비슷한 듯 다른 지루피부염

신생아 여드름과 신생아 지루피부염은 발생 시기가 비슷해 구분하기 쉽지 않다. 지루피부염은 주로 눈썹, 두피, 귀에 흔하게 나타나며 노란 딱지나 각질이 생긴다는 점이 신생아 여드름과 다르다. 지루피부염 역시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되며 보습 관리가 중요하다. 심할 경우 국소도포제를 사용해볼 수 있다.

Tip. 아토피피부염 특징
아토피피부염은 지루피부염이나 여드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아토피피부염은 신생아기에 진단하기는 어렵다. 추후 가족력, 습진 또는 피부 갈라짐, 간지럼증과 같은 증상을 보일 때 진단이 가능하다. 전문의가 아닌 경우 감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3개월이 지나도록 증세가 나타나고, 반복적으로 가려움을 동반한 습진이 팔다리에 생긴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호제] 2023년 앙쥬 9월호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황지선(프리랜서) 내용출처 앙쥬 자료실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09] 육아 라이프의 멀티 플레이어 스펙트라 올셋 PA 젖병(0)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09] 임신 중 해도 되는 것과 안 되는 것(0)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09] 가뿐한 몸을 위한 디톡스 안내서(0)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09] 포경수술 해야 할까? 아닐까?(0)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09] 산후 후유증 극복을 위해 해야할 일(0)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

의견쓰기타인비방, 모욕, 개인정보 노출, 상업광고, 홍보글 등은 공지없이 바로 삭제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