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에 쫓기더라도 만사태평인 사람이 있는 반면, 데드라인이 한참 남았는데도 불안해하고 조급해하며 일찌감치 일을 마치는 사람이 있 다. 똑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후자에 속하는 사람은 늘 불안하다. 한 마디로 같은 상황, 같은 환경에서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스트레스 강도가 다 르다는 것. 아이와 떨어져 있어야 하는 상황이 유독 힘들다면 불안 수준이 높은 기질일 수 있다.
자신이 유아기에 겪은 경험
본인이 유아기에 부모와 떨어져 지내며 힘들었던 기억이 있을 경우, 아이도 자신과 떨어지는 걸 못 견딜거라 생각하게 되고 이는 부모의 분리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어린 시절의 기억은 워낙 강렬하기 때문에 당시 경험했던 ‘분리 상황’이 일종의 트라우마로 남아 치 유되지 못한 채 성인이 되면 아이의 현재 모습과 자신의 어릴 때 모습이 겹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그리고 아이가 자신과 떨어지는 것에 조금만 거부감을 보여도 자신의 어린 시절을 떠올리고 아이가 실제로 느끼는 감정 상태보다 더 과하게 힘들 거라고 여기곤 한다. 분리불안 증세가 심하다 면 ‘내 아이는 나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 ‘아이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존재가 되고 싶다’라는 생각이 크다. 그래서 정작 아이가 분리불안 증세 를 보이지 않으면 서운하게 여기기도 한다.
전전긍긍하는 부모는 늘 아이 생각만 한다. 자신과 떨어져 있는 동안 아이가 잘 있는지, 대리 양육자와 무슨 일을 하는지 늘 궁금해한다. 물론 아이 에게도 엄마와의 분리는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엄마가 걱정하는 것처럼 종일 우울한 감정에 젖어 있다거나, 계속 엄마 생각만 하지는 않는다. 아이는 아이 나름의 시간을 잘 보낸다. 헤어지는 순간에는 엄마와 떨어지기 싫다며 떼를 부리거나 울지만, 하루 종일 내내 우는 아이는 없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아이도 자기의 생활을 해나간다. 만약 집에 두고 온 아이가 걱정된다면 자신이야말로 아이에게서 분리되지 못한 건 아닌지 곰 곰이 생각해보자. 결국 아이는 부모로부터 건강하게 독립되어야 할 존재란 사실을 잊지 말자.
감정 분리
유독 아이와의 분리가 힘들고 버겁다면 그 불안이 ‘아이의 것’인지, ‘나의 것’인지 진지하게 생각해보자. 어린 시절 주양육자와 떨어져서 힘들었던 경험은 없었는지도 떠올려본다. 아이를 양육할 때 특별히 어렵거나 힘겹게 느껴지는 것들은 자신의 유년기 경험과 관련 있는 경우가 많다. 아이와 헤어지는 게 힘들다고 느껴질때, 지금 이 순간 마음이 힘든 존재가 아이인지 나인지 마인드 컨트롤해 볼 필요가 있다.
지나친 걱정은 금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부모라면 아이와 떨어져 있을 때 불안을 느끼고 걱정을 한다. 이 마음은 아이에 대한 지극한 사랑의 감정에서 출발한다. 그 리고 이런 마음이 바로 ‘부모-자식’ 간의 관계를 여타 다른 이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밀착된 관계로 만들어가는 결정적 원동력이 된다. 그러니 자신 의 불안한 마음을 지나치게 걱정하지는 말자. 엄마도 아이도 분리불안을 잘 극복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하고, 이 과업을 해결하게 될 때 안정적인 애 착과 신뢰가 쌓인다.
단계적 분리
아이의 분리불안을 줄이고 싶을 때 양육자와 아이가 서로 떨어져 있는 시간을 조금씩 늘려가는 방법을 쓴다. 그래서 어린이집에 첫 등원하는 날에 는 1시간만 어린이집에 머물게 하고 조금씩 시간을 늘리는 적응법을 쓰는 것. 이 방식을 양육자에게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순차적인 분리 과정 을 거치며, 갑작스러운 분리를 피하는 것이다. 차츰 적응하게 되면 양육자와 아이는 서로를 하나의 온전한 존재로 인정하게 된다.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곽은지 내용·사진출처 앙쥬 자료실
부모교육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부모교육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부모교육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부모교육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부모교육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