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형별 대처법
침대·소파_ 침대 안쪽에 재우거나 안전가드를 설치해 바닥에 떨어지지 않게 한다. 아이가 부딪칠 수 있는 가구들을 치우고 바닥에 안전매트를 설치 하는 것도 좋다.
서랍장·책장_ 가구를 벽에 단단히 고정해 설치한다. 아이들 방에는 무게가 가벼운 가구를 두지 않으며 손잡이에는 고정장치를 달아 둔다.
베란다_ 창문 베란다에는 보호대나 난간을 반드시 설치하고 문과 창문에는 잠금장치를 해 아이가 혼자 열 수 없게 한다. 베란다 근처에 아이가 딛고 올라설 수 있는 의자, 상자 등을 모두 치운다.
유형별 대처법
가구_ 가구의 날카로운 모서리마다 보호대 등 안전용품을 부착하거나 모서리가 둥근 유아용 가구를 사용한다. 현관문, 방문 등에는 손 끼임 방지 보 호대나 경첩 끼임 방지 장치 등을 설치한다.
거실·욕실_ 발이 걸리기 쉬운 거추장스러운 물건은 치운다. 거실에 충격 흡수가 되는 미끄러짐 방지 바닥재 혹은 매트를 깐다. 욕실이나 화장실 바 닥에는 미끄러짐 방지 스티커를 붙이고 물기가 남지 않도록 주의한다. 욕실 문 앞 매트는 뒷면에 밀림 방지 처리가 된 것을 고른다.
유형별 대처법
장난감·자석_ 영유아가 있는 가정이라면 삼킬 수 있는 크기의 작은 장난감은 치워 두는 것이 좋다. 특히 잘 떨어지는 자석 장난감이나 과일, 과자, 음식 모양의 냉장고 자석은 사용하지 않는다. 어린이가 자력이 강한 소형 자석을 두 개 이상 삼킬 경우 장을 사이에 두고 자석끼리 끌어당겨 장천공 , 장폐색, 패혈증을 일으키거나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화장품·세제_ 가정용 화학제품, 의약품은 아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며 사용 후 반드시 용기를 닫아 둔다. 특히 독성이 있는 물질은 절대 음 료수병과 같은 용기에 옮겨 놓지 않는다.
유형별 대처법
부엌_ 뜨거운 수증기가 나오는 전기밥솥이나 커피포트, 휴대용 가스레인지 등을 사용할 때는 아이가 다가오지 않도록 주의하고 요리 중 조리도구의 손잡이는 안쪽으로 돌려놓는다. 식탁보는 아이가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뜨거운 음식은 식탁 가장자리에 두지 않는다. 정수기에 온수 안전장치가 있는지 확인하고 온수를 받을 때 물이 튀지 않도록 주의한다.
전기 제품_ 아이가 가전제품의 뒷부분, 콘센트, 난방 기구 등을 만질 수 없도록 안전커버를 설치한다.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플러그 를 뽑는다.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곽은지 내용·사진출처 앙쥬 자료실
닥터앙쥬전문가 Q&A [202207] | 슬기로운 여름 나기 머스트 해브 육아템(0) |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207] | 유산 후 임신 시도의 적기는 언제인가요?(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207] | 아이들이 잠을 거부하는 7가지 이유(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207] | 체중계가 요지부동! 몸무게 정체의 원인은?(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206] | 아이 입안에 수포가 생겼다! (feat. 구내염)(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