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손잡이 훈련 필요할까?
아이는 만 1~2세 무렵부터 어느 한쪽 손을 많이 쓰게 되고, 만 3~5세가 되면 뚜렷하게 한쪽 손을 많이 쓰게 된다. 이는 아이의 뇌가 성장 발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돌 이전 아이는 양 쪽 손을 거의 동일하게 사용하며, 아직 이행기이므로 어느 한쪽 손만 내미는 행동만으로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라고 할 순 없다. 1~2세경에 왼손잡이였다가 자라면서 오른손잡이가 되는 경 우도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5세 이후가 되어야 정확히 알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왼손잡이는 성인의 12%이며, 우리나라만 보면 전체 국민 중 약 5%만이 왼손잡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왼손으로 밥을 먹는 사람은 전 국민의 2.5~3%, 왼손으로 글씨를 쓰는 사람은 약 1%에 불과하다.
왼손잡이는 타고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남자가 특히 유전적인 영향을 많이 받아 부모가 왼손잡이면 자녀도 왼손잡이일 확률이 높다. 출생 당시 여러 스트레스에 뇌가 영향을 받아 나타날 수도 있다.
왼손잡이가 돈을 더 많이 번다는 통계도 있다. 우뇌형 사고에 능해 다른 사람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우뇌는 창조적 능력, 감성, 느낌 등과 관련 있는데, 왼손을 움직이는 신경이 뇌의 오른쪽에 있기 때문에 왼손을 많이 사용하면 우뇌가 발달할 수밖에 없다. 또 오른손잡이에 비해 양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어떤 일을 처 리할 때 우뇌와 좌뇌가 모두 활발하게 움직인다.
하지만 양손잡이가 된다고 해서 지능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보통 왼손잡이 아이가 성장 과정에서 오른손 사용을 강요받다 보니 양손잡이가 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아이의 타고난 기 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고 한다. 양손잡이는 다시 말해 왼손이나 오른손 어느 쪽에도 집중적인 발달을 보이지 않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좌뇌나 우뇌 어느 쪽도 우세하지 않고 팽팽하게 긴 장 상태로 유지되어 어느 한쪽도 탁월한 발달을 보이기 어렵다. 왼손잡이는 오른손잡이에 비해 결코 우월하거나 열등하다고 할 수 없으며, 이는 단지 신체 발달상 개인차에 의한 조화의 개념 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이가 왼손을 쓰는 이유는 오른손보다 힘이 좋고 편해서다. 오른손을 사용하라는 말에 쉽게 순응하는 것처럼 보여도 그만큼 힘들고 불편하므로 강요해서는 안 된다.
프랑스의 발달생물학자 레몽 교수는 세계 톱 수준의 운동선수들을 분석했더니 펜싱, 테니스 등 마주 보고 하는 경기에서 왼손잡이 비율이 특히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여기에서 그는 “생활환경이 오른손잡이 위주로 되어 있음에도 그 비율이 줄지 않는 이유는 왼손잡이만의 경쟁력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영훈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 현재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4~7세 두뇌 습관의 힘>, <적기 두뇌> 등의 저서를 통해 영유아발달과 건강관리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글 이은선(프리랜서) 도움말 김영훈(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