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자궁경관무력증은 전체 임신의 0.05~1% 정도에서 발생하며, 임신 중기에 일어나는 유산 중 16~20%는 자궁경관무력증이 원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
질에서부터 자궁으로 향하는 좁은 부분을 일컫는 자궁경부는 길이 3~4cm, 지름 2.5cm 정도의 관 모양을 하고 있다.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등의 감염으 로부터 자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임신 중에는 외부로부터 태아를 보호하는 기능 외에 태아의 성장에 따라 무거워지는 자궁을 받쳐주는 역할까 지 하게 된다. 그런데 자궁과 태아를 보호해야 할 자궁경부가 임신 중에 열리면서 임신을 유지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자궁경관무력증이 라 한다.
자궁경부암 등의 치료를 위한 원추절제술을 비롯해 임신중절 중 기계적인 경관확장술, 자연분만 도중의 자궁경부 열상 등으로 인한 자궁경부의 외과 적 손상이 있었다면 자궁경관무력증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2008년 노르웨이에서 대규모 연구를 시행한 결과 자궁경부를 원추 모양으로 도 려내는 원추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임신 24주 이전에 유산할 확률이 4배 증가했다고 한다. 이 밖에 자궁경부의 뮬러리안 기형 및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결핍, DES 같은 약물에 노출되어 자궁경부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한 경우 자궁경관무력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수술은 크게 질을 통하는 경우와 복부를 통하는 경우로 나뉜다. 드라마에서 언급되었던 맥도날드 수술은 가장 많이 시행되는 방법으로 질을 통해 자궁 경부를 녹지 않는 봉합사로 꿰매는 것이다. 처음 이 수술을 시도한 의사의 이름을 붙인 이 수술법을 두고 맘카페에서는 흔히 맥수술이라고 부르기도 한 다. 변형된 쉬로드카 수술은 봉합사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자궁경부 벽 안으로 봉합하는 방법이다.
복부를 통한 자궁경관결찰술은 자궁경부 절제술을 시행해 질에서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질식 수술을 시도했다가 실패해 유산한 경우에 시행한다. 전신 마취 후 개복수술을 통해 봉합사로 자궁경부를 묶는 복식자궁경관결찰술을 흔히 TC 혹은 TCIC로 부르며, 복강경이나 다빈치 로봇을 이용해 시행하기 도 한다. 여러 이유로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는 질을 통해 페서리라는 기구를 삽입하는 비수술적 방법도 있다.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게 일상 활동을 제한하고 절대 안정을 취하기를 권장하던 때도 있었으나 현재는 치료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궁 문이 열리기 전에 하는 예방적 자궁경관원형결찰술을 시행한 경우라면 일주일까지는 부부관계를 피해야 한다. 자궁문이 열린 이후에 응급으로 자궁경 관원형결찰술을 시행했다면 조산의 시기가 지날 때까지는 부부관계는 물론 탕목욕, 질 세정을 피할 것을 권장한다.
장진범 연세의료원 산부인과 전문의를 거쳐 현재 용인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전문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여성 배뇨장애 및 요실 금, 자궁 및 난소 종양, 산전관리 등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에디터_조윤진 글_이은선(프리랜서) 도움말_장진범(용인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교수)
건강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건강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건강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건강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건강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1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