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아이가 조금이라도 잘못된 행동을 하면 문제가 더 커지기 전에 고쳐줘야 한다는 생각에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ㅁ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대신 자꾸만 고치려 하고, 다른 아이에 비해 뒤처지지 않을까 초조해한다.
아이에게 완벽한 육아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슈퍼우먼이 되고자 애쓰며 육아 강박에 시달리는 엄마는 대개 이런 태도를 보인다. 실제로 아이를 완벽하게 키우고 싶어 하는 엄마들이 괴로움을 호소하며 상담을 받고자 병원을 찾는 경우도 적지 않다. 스스로 강박증을 의심해서 찾아가는 경우도 있지만, 전문의와 면담 후 자신이 이에 해당한다는 것을 깨닫기도 한다.
육아 강박에 시달리는 엄마가 느끼는 대표적인 감정은 죄책감과 분노다. 죄책감은 완벽한 육아를 추구하고 싶은데 현실에서는 그렇지 못한 자신을 발견할 때 든다. 반대로 자신은 완벽한 육아 환경을 제공하는데 아이가 기대만큼 따라오지 못한다고 여겨지면 분노를 느끼게 된다. 이 감정은 주로 아이에게 분출되곤 한다.
어린 시절 부모의 양육 태도로부터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다. 어릴적 부모가 지나치게 완벽 육아를 추구한 경우 ‘자신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키워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될 수 있고, 반대로 ‘어릴 적 부모와 달리 아이를 자유롭고 편하게 키워야겠다’고 생각하면서도 자신도 모르게 부모를 닮아가게 될 수도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어릴 적 부모가 자신에게 무관심이나 방임적 태도를 보인 경우에도 육아 강박에 사로잡힐 수 있다. ‘나중에 부모가 되면 부모님처럼 하지 말아야지’ 하고 다짐하면서 훌륭하고 완벽한 육아를 꿈꾸는 생각이 육아 강박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ㅁ 육아 외의 영역, 예를 들어 배우자와의 식사나 대화, 친척 모임, 친구와의 교류에 전혀 관심이 없거나 참여하지 않으려고 한다.
ㅁ 아이에게 자주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는 등 아이와의 관계가 악화된다.
ㅁ 거의 하루 종일, 심지어 잠자리에 들거나 잠에서 깨어날 때도 육아에 대한 걱정을 한다.
위의 4가지 경우 중 하나에라도 해당되면 스스로 극복하기 어려운 수준의 육아 강박증으로 볼 수 있으니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손석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현제 연세신경정신과 원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잔소리 없이 내 아이 키우기>, <지금 내 아이에게 해야 할 80가지 질문> 등을 집필하고 강연과 언론매체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진행 강지수(프리랜서) 글 이은선(프리랜서) 포토그래퍼 진혜미 도움말 손석한(연세신경정신과 원장)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14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