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한 과거력이 없는 대부분의 임신부는 초기에 공복 혈장·혈당과 요당을 검사해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이상이 발견되거나 가족력 혹은 병력이 있는 경우, 또 고도비만인 경우에는 초기에 임당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우리가 흔히 임당검사로 부르는 중기 검사는 1차 선별 검사와 2차 확진 검사로 시행된다. 1차 선별 검사는 임신 24~28주에 병원에서 주는 50gm의 시약을 먹고 1시간 후 혈당을 측정하는데, 이때 수치가 140mg/dl 이상인 경우 2차 확진 검사를 받는다.
재검이라 부르는 2차 확진 검사는 8시간 이상 금식한 후 100gm의 시약을 먹고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에 혈당을 측정한다. 공복혈당 95mg/dl 이상, 1시간 후 혈당 180mg/dl 이상, 2시간 후 혈당 155mg/dl 이상, 3시간 후 혈당 140mg/dl 이상 중 두 가지 이상 기준 수치를 초과하면 임신성당뇨병으로 진단한다.
1차 선별 검사
140mg/dl 이상 시
2차 검사 진행
2차 확진 검사
공복혈당 95mg/dl 이상
1시간 후 180mg/dl 이상
2시간 후 155mg/dl 이상
3시간 후 140mg/dl 이상
두 가지 이상 기준 수치 초과 시 진단
임신성당뇨병으로 진단받더라도 혈당만 잘 조절하면 태아에게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다만 고혈당이 심해진 경우 망막이 손상돼 시력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장도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일반 당뇨병처럼 태아의 기형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거대아가 될 수도 있고 분만 중 엄마나 아이에게 합병증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꾸준한 혈당 관리를 통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당 관리는 식이요법과 운동이 기본. 칼로리만 줄이는 식사는 태아에게 해가 될 수 있으므로 전문가와 상담 후 균형 잡힌 식단을 준비한다. 또 중간 강도 이상의 적절한 운동은 건강과 혈당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출산할 때까지 매일 혈당을 확인해야 하는데, 식이요법과 운동을 해도 공복에서 95mg/dl, 식후 1시간 140mg/dl, 식후 2시간 120mg/dl 이상이라면 전문의에게 인슐린 투여를 상담하는 것이 좋다.
장진범 현재 봄여성병원 산부인과 전문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여성 배뇨장애 및 요실금, 자궁 및 난소 종양, 산전 관리 등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에디터 조윤진 글 이은선(프리랜서) 포토그래퍼 진혜미 도움말 장진범(봄여성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건강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건강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건강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건강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건강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