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은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청력이 손상될 수 있으며, 한번 걸리면 재발하기 쉽다고 해 더욱 신경 쓰이는 병이다. 하지만 반드시 재발하는 것은 아니다. 어린아이의 경우 귀의 구조적인 이유로 자주 걸리는 것뿐이다.
실제로 생후 6~20개월 아이들의 귀관은 길이가 짧고 수평으로 놓여 있어 균이 쉽게 들어간다. 따라서 중이염에 잘 걸릴 수밖에 없다. 보통 생후 12개월까지는 약 85%, 생후 24개월까지 약 99%의 아이가 적어도 한 번 이상의 급성 중이염을 앓을 정도다. 유독 중이염의 재발이 잦았다면 이는 예전에 걸려서가 아니라, 면역력이 약해 감기에 자주 걸린 만큼 중이염도 자주 걸렸기 때문이다
TIP 중이염의 종류
중이염은 감염과의 연관성에 따라 화농성과 비화농성으로 구분된다. 화농성은 급격하게 발생해 ‘급성 중이염’이라고 부른다. 자주 재발되는 경우 ‘재발 급성 중이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비화농성은 삼출 분비물이 중이에 고이는 질환으로 ‘삼출 중이염’ 또는 ‘분비 중이염’이라고 부르는데 대부분 급성 중이염이 발병한 후에 나타난다.
중이염을 충분히 치료하고 증상이 없어진 후에도 중이에 물이 차는 경우가 있다. 중이에 물이 차면 소리를 잘 듣지 못할 수 있는데,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도 많아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물이 고여 있는 기간이 길면 청력이 떨어질 수 있어 청력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만에 하나 청력이 소실됐다면 고막에 조그만 튜브를 박는 환기관 삽입술을 받는다.
중이염의 원인 중에는 세균 감염이 70% 이상을 차지한다. 항생제 치료를 충분히 하지 않고 중단하면 남아 있는 세균이 더 증식한다.
2 코는 한쪽씩 풀고 노리개 젖꼭지를 오래 빨지 않게 한다
코를 세게 풀거나 지속적으로 노리개 젖꼭지를 빨면 귀관의 압력 조절 기능을 방해해 중이염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3 누워서 수유하지 않는다
아이를 눕힌 채로 수유하면 중이로 모유나 분유가 들어갈 수 있어 중이염이 생길 수 있다. 가급적 아이를 앉히고 수유한다.
4 독감과 폐구균 예방접종을 한다
독감에 걸리면 중이염이 잘 생기므로 반드시 독감 예방접종을 한다. 폐구균 예방접종도 중이염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선향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로 현재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 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대한소아과학회, 대한심장학회, 대한소아심 장학회 정회원으로 선천성 심장 질환, 가와사키병, 소아 고혈압, 심초음파 등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에디터 류신애 글 이서연(프리랜서) 포토그래퍼 김현철, 이경환 도움말 이선향(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모델 김시안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1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