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와 원시, 난시 등 굴절이상을 살펴야 하는 나이는 만 3세 이후부터다. 안과 검진도 이때부터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은데 3~4세 아이의 시력은 0.4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간혹 아이의 시력이 낮아 선천적으로 눈이 나쁜 것이 아닌지 걱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점점 시력이 발달하면서 만 6세가 되면 비로소 어른의 정상 시력인 1.0 정도를 갖게 되므로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이 시기에 시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하면 이후 안경을 쓰거나 수술을 해도 시력이 좋아지지 않는 소아 약시로 이어질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안경을 쓰고도 시력이 0.8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양쪽 눈의 시력 차이가 크거나 사시라서 한쪽 눈만 사용하는 경우 등 원인은 다양하다. 이 중 원인이 굴절이상이라면 교정용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 특히 질환의 발견 시점이 중요한데 만 6세까지는 치료 효과가 좋지만 나이가 많아질수록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만 4세에 발견한 약시의 완치율은 95% 정도지만 만 8세에 발견해 치료할 경우 23%로 급감한다. 시각 기능이 완성된 10세가 지나면 치료가 불가능하다.
소아 사시
두 눈이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질환이다. 아이들의 4~5%에서 나타나며 시력이 발달되지 않는 약시를 유발할 수 있고 사물을 입체적으로 보는 입체 시력도 낮추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해야 한다.
근시
먼 곳은 잘 안 보이고 가까운 곳이 잘 보이는 질환을 말한다. 드림렌즈는 잘 때 착용하면 각막의 중심 부분을 누르면서 근시와 난시의 진행을 억제해 일시적으로 잘 보이도록 교정해준다. 꾸준히 착용하면 근시의 진행 속도를 늦춰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 정확한 굴절 검사로 적절한 도수의 안경을 정해 착용하면 선명한 상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이의 눈이 나빠졌다고 무작정 안경을 착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일시적인 근시 현상인 가성근시일 수 있기 때문. 가성근시는 독서, 컴퓨터 게임 등을 지나치게 오래 하면 눈의 피로와 함께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다. 초등학생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일정 기간 휴식을 취하면 시력이 정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바로 안경을 맞추기보다 안과에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본 후 착용을 결정하는 것이 좋다. 잘못된 도수의 안경을 착용할 경우 가성근시가 영구적 근시로 이어질 수도 있으니 주의한다.
ㅁ아이가 밝은 빛을 싫어하거나 한쪽 눈을 자주 감는다.
ㅁ눈을 자주 비비거나 깜빡인다.
ㅁ잘 넘어지거나 야맹증(어두운 곳에서 잘 보이지 않는 현상)이 있다.
ㅁ고개를 자꾸 기울이거나 옆으로 돌려서 본다.
ㅁ고도근시, 녹내장 등의 가족력이 있다.
ㅁ각막이 다른 아이들에 비해 유난히 크게 보인다.
ㅁ한쪽 눈을 가린 상태에서 가까운 물체나 멀리 떨어진 사물을 잘 보지 못한다
* 위 항목 중 1~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안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아이의 눈 건강을 위해서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는 하루에 2번 20~30분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좋다. 책은 30~40cm 거리를 두고 보되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조명은 너무 어둡거나 밝지 않게 조절한다. 야외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없는 완구 선글라스는 쓰지 않으며 장난감 총, 레이저 포인터 등을 갖고 놀지 못하게 한다.
김욱겸 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드림렌즈 클리닉 안과 전문의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에서 의학석사를 받았으며 대한사시소아안과학회 정회원, 대한안과학회 정회원으로 활동 중입니다. 드림렌즈 및 소아 안과 분야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며 어린이 근시 관련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에디터 윤희나 포토그래퍼 이경환 도움말 김욱겸(비앤빛 강남밝은세상안과 원장) 모델 그렌트 브루스 리버
1개월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1개월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1개월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1개월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1개월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4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