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노하우

육아노하우아이의 자존감을 쑥쑥 키우는 부모의 말

인생을 살아가면서 ‘자존감’이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존감이 높은 아이는 자신을 가치 있는 존재로 생각하며, 매사에 자신감이 넘친다. 설령 실패하더라도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나타낸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고 싶다면 평소 대화법에 주목해보자.

긍정적인 사고가 가진 힘

똑같이 물이 반 정도 찬 컵인데 긍정적인 사람은 “물이 반이나 있네”라고 하지만 부정적인 사람은 “물이 반밖에 없네”라고 말한다. 이렇듯 상황은 변하지 않지만 같은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삶에 대한 태도도 달라진다. 긍정적인 생각과 마음은 어려운 일을 당했을 때 그것을 극복하는 힘이 되어 준다. 이 긍정의 힘은 육아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아이의 감정에 잘 공감하고 충분히 애정 표현을 해주면 아이는 자신이 사랑받고 있음을 느낀다. 이런 긍정 육아 속에서 자란 아이는 탄탄한 자존감을 가진 아이로 성장한다.

부모의 언어습관이 아이에게 주는 영향력

주 양육자인 엄마의 말은 아이의 정서, 두뇌 등 다양한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자신을 소중히 여기고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는 자존감을 키우는 힘을 지니고 있다. 부모의 언어 습관과 태도가 중요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해주는 말을 듣고 자란 아이는 자존감이 높아 자신을 가치 있는 사람으로 여긴다. 매사에 자신감이 넘치고 실패 후에도 훌훌 털고 일어나 또다시 시작하는 태도를 보인다. 반면 “넌 그것도 못해?” “몇 번을 말해야 알아들어?”와 같은 무시나 비난을 자주 들은 경우에는 타인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해 생각을 표현하는 데 소극적이다.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고 작은 실수에도 자책하는 모습이 강한 점이 특징이다. 아이의 자존감은 아직 탄탄하지 못해 부모의 부정적인 말 몇 마디로도 쉽게 무너진다. 평소 가시 돋친 표현과 아이의 생각을 가벼이 여기는 행동은 줄이고 존중하는 태도로 자주 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상호작용 가이드

1 부드러운 어투로 말한다
부모가 육퇴 후 하루를 돌아보았을 때 가장 후회하는 행동 중 하나가 윽박지르기다. 예를 들어 자녀가 블록놀이에 빠져 식사를 거부할 때 “지금 안 치워? 그럼 갖다 버린다”라고 소리치는 것이다. 아이 입장에서는 밥 먹는 것보다 놀이가 더 즐겁기 때문에 부모의 말을 귀 담아듣지 않는다. 그런 모습이 못마땅해 날카로운 말들을 내뱉게 되는데 이처럼 무조건 식사를 강요하는 태도는 갈등의 골을 더 깊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존중해주되 부드러운 어투로 지금 해야 할 일을 짚어준다.
상호작용 예시
엄마
블록놀이 어때?
아이 재미있어요.
엄마 즐겁게 노니까 엄마도 참 좋아. 그런데 어쩌지?
지금 저녁 먹을 시간인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2 육하원칙에 따라 대화한다
아이는 자신이 뱉은 말에 대한 주변 사람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동시에 자존감의 기초를 다진다. 현실적으로 아이의 모든 이야기를 귀담아들으며 반응하는 것은 쉽지 않다. 하지만 육하원칙을 적용하면 아이에게 경청하고 있다는 느낌을 보다 쉽게 전달할 수 있다. 상황을 파악하는 ‘왜’, 해결 방향을 찾는 ‘어떻게’ 외에도
‘언제, 어디서, 누가, 무엇을’에 대한 내용을 물어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하면서 대화를 매끄럽게 이어가보자.
상호작용 예시
아이
나 그림 그리기 싫어요.
엄마 왜?
아이 재미없어요.
엄마 그럼 어떻게 할까?
아이 블록놀이 할래요.


3 아이가 스스로 결정한 것을 지키게 한다
아이의 결정대로 행동하게 유도하고 부모는 묵묵히 지켜보는 것도 중요하다. 단 무리한 선택을 할 땐 도움을 주고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경우 내용을 상기시킨다. 가령 정해진 시간보다 TV를 오래 보는 경우 “이제 그만 볼 시간이네. 시계를 한번 볼까?”라고 묻는다. 아이가 말한 그대로 행동한다면 폭풍 칭찬을 해준다. 이러한 경험이 쌓여 아이는 자존감은 물론 자립심과 책임감을 함께 키우며 성장한다.
상호작용 예시
엄마
오늘 엄마랑 몇 시에 자기로 약속했지?
아이 10시요.
엄마 그런데 지금 10시가 지났네. 얼른 준비하고 5분 안에 잠자리에 들자


4 아이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칭찬한다
칭찬에 ‘너는 대단히 훌륭한 존재야’라는 의미를 담는 대화기술은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다. 물을 잠그고 손 씻는 아이에게 “물을 아껴 쓰는 좋은 습관을 가졌네”라고 하는 것처럼 사소하고 평범한 행동을 칭찬한다. 엄마와 함께 자신의 장점을 번갈아 가며 한 가지씩 말하는 ‘장점 말놀이’를 해보아도 좋다.
상호작용 예시
아이 엄마, 점심 잘 먹겠습니다.
엄마 어쩌면 인사도 이렇게 잘할까?
◯◯가 맛있게 먹어서 엄마는 기분이 좋아.

 

프로젝트 [호제] 2023년 앙쥬 4월호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곽유주(프리랜서) 내용·사진출처 앙쥬 자료실

훈육노하우 [202312]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훈육노하우 [202312]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훈육노하우 [202312]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훈육노하우 [202312]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훈육노하우 [202311]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

의견쓰기타인비방, 모욕, 개인정보 노출, 상업광고, 홍보글 등은 공지없이 바로 삭제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