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 부족 탓?
눈떨림은 근육이 수축하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뇌신경이 근육을 수축시키라는 명령을 내리면 근육이 신호에 반응해 수축하는데, 어떤 이유에서든지 이 부분에 이상이 생기면 신경의 흥분이 억제되지 못하면서 증상이 나타난다. 흔히 마그네슘 부족을 원인으로 지목하는데, 일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100% 마그네슘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신경이 정상적으로 기능하려면 마그네슘뿐 아니라 칼슘 등의 전해질 성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영양결핍 외에 스트레스, 피로, 과다한 카페인 섭취, 음주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안검근파동은 주로 한쪽 아래 눈꺼풀이 떨리며 간혹 양쪽 눈꺼풀에 나타날 수도 있다. 증상이 일시적이고 오래 지속되지 않으며, 피로나 스트레스 같은 유발 요인을 없애면 자연스럽게 호전된다. 따라서 음주, 흡연, 과다한 카페인 섭취를 피하고 스트레스, 과로, 수면 부족, 전해질 불균형 등을 관리할 것을 권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고 양질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 비타민B나 D, 마그네슘 같은 영양소 결핍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보충하는 것도 도움이 되며 보톡스 주사로 증세를 호전시킬 수 있다.
한쪽 얼굴이 전체적으로 수축되면서 눈깜박임을 유발하는 얼굴 반쪽 연축, 혹은 반측성 안면경련(Hemifacial spasm)의 경우 원인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얼굴에 경련을 일으키는 흔한 질환 중 하나인 안면경련은 위 혹은 아래 눈꺼풀에서부터 시작된다. 수년에 걸쳐 서서히 이마, 뺨, 입꼬리 부위로 떨림이 진행되는데 잠자는 동안에도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발생률이 더 높으며 약물치료나 보톡스 주사, 수술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볼 전체나 눈꺼풀 외에 얼굴의 다른 부위가 떨린다면 길랑바레증후군 같은 염증성 신경병이나 뇌줄기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이 경우 증상에 대한 치료뿐 아니라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도 필요하므로 신경과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유일한 중앙대병원 신경과 전공의와 서울대병원 신경과 전임의를 거쳐 현재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대한신경과학회,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정회원으로 말초신경·근육 질환, 다발성경화증 등이 전문 분야입니다.
에디터 곽은지 글 이은선(프리랜서) 포토그래퍼 김현철 도움말 유일한(노원을지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부모건강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부모건강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부모건강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부모건강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부모건강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