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위식도 역류성 질환은 임신부에게 비교적 흔한 질병이다. 임신 12주까지는 26%의 임신부가 경험하는데 임신 28주 이후에는 51%에게서 증상이 나타날 정도. 명치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것처럼 흉골 뒤쪽이 타는 듯이 쓰린 것이 전형적인 증상으로, 속이 울렁거리고 구역질이 나는 입덧과는 차이가 있다. 위액이 입으로까지 역류하게 되면 시고 쓴맛이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임신 후기로 갈수록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자궁이 커지면서 복부에 압력이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이 복압이 식도괄약근을 조이는 횡격막을 압박하면서 높아지기 때문이다.
속쓰림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밥을 조금씩 나누어 먹는 것이 좋다. 특히 저녁 식사는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에 소량만 섭취한다. 소화시키겠다며 식사 후 바로 운동하는 것은 증상을 더 심하게 할 수 있다. 평소에 규칙적으로 운동해 체중이 과도하게 늘지 않도록 관리한다.
왼쪽으로 누워 있기
식후 30분 이내에는 눕지 말고, 자는 동안에도 속쓰림이 느껴진다면 잠자리 자세를 바꿔볼 것을 권한다. 위가 식도보다 왼쪽에 위치하므로 왼쪽으로 누워 자면 역류가 줄어든다. 하지만 한쪽으로만 잘 순 없으므로 상체를 높이는 것이 더 효과적. 누워있을 때 머리 쪽을 15~20cm 높게 하면 자는 동안의 역류 증상을 줄일 수 있다.
기대어 눕는 자세 취하기
웨지필로(wedge pillow)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기대어 누울 수 있도록 사선으로 되어 자연스럽게 상체를 높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평소 사용하는 베개를 더 쌓아 머리만 높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니 주의할 것.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역류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며, 목이나 척추에 부담을 주기 때문
제산제를 비롯해 대부분 소화기 계통의 약물은 일반 의약품으로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성분은 임신부에게 안전하지 않으므로, 임의 복용하지 말고 미리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좋다. 특히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이 들어 있는 제산제는 모체나 태아의 전해질과 수분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삼규산마그네슘(magnesium trisilicate)은 장기간 고용량 사용하는 경우 태아의 호흡기, 신장, 근육 등에 문제를 일으키므로 피해야 한다.
무지방 우유 일반적으로 우유에는 3.4%의 유지방이 포함돼 있으며, 유지방 성분은 속쓰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무지방 우유는 식도의 점막과 산성인 위 내용물 사이에 일시적으로 완충 작용을 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생강차 생강은 알칼리성으로 항염 작용을 해 소화관의 자극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레몬차 레몬은 보통 산성으로 여겨지지만, 소량의 레몬에 따뜻한 물과 꿀을 섞은 레몬차는 우리 몸을 알칼리화하는 효과가 있어 위산을 중화시킨다.
장진범 연세의료원 산부인과 전문의를 거쳐 현재 용인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전문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여성 배뇨장애 및 요실금, 자궁 및 난소 종양, 산전관리 등을 전문으로 진료하고 있습니다
진행 강지수(프리랜서) 글 이은선(프리랜서) 포토그래퍼 김현철 도움말 장진범(용인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 교수)
건강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건강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건강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건강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건강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