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렇게 보상을 기대하는 심리가 습관화되어선 안 된다. 보상은 부모가 설정해둔 목표를 수행하도록 유인하는 방법일 뿐 아이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기 때문이다.
외적보상은 눈에 보이는 것들이라 효과가 빠르지만 아이가 지나치게 집착할 경우 문제가 되기도 한다. 보상이 있을 때만 행동하거나 보상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거부할 수 있기 때문. 따라서 내적보상과 외적보상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칭찬과 인정을 통해 아이가 기쁨과 보람을 느낄 수 있게 한다. 평소 아이에게 외적인 보상은 작은 것이고 진짜 중요한 것은 내적인 보상임을 부모가 자주 알려준다.
아이가 스스로 양치질과 세수를 하고 나면 아침과 저녁에 별 스티커를 하나씩 붙여준다. 일주일 동안 14개의 스티커를 획득하면 3,000원 이내로, 2주 연속 28개를 획득하면 5,000원 이내로, 3주 연속 42개를 획득하면 8,000원 이내로, 한 달간 잘 지켰다면 1만 원 이내로 아이가 원하는 것을 선물한다 .
comment 아이가 인내심을 가지고서 꾸준히 행동을 이어나갈 수 있고 성공한 기간이 오래될수록 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자연스럽게 인지할 수 있다. 보상의 한계를 미리 정해놓으므로 과도한 욕심을 부리지 않게 된다.
나쁜 보상
어느 날 갑자기 “오늘 저녁을 남김없이 먹으면 장난감 사줄게”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마다 “젤리 줄 테니까 이리 와서 그림 그리자” “장난감 치우면 과자 줄게” 같은 즉흥적인 보상.
comment 어떤 일의 대가나 교환으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좋지 않다. 정해진 원칙 없이 부모의 기분에 따라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은 아이에게 바람직한 행동을 심어주기보다는 부모의 말을 무조건 잘 들어야 착하다는 식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매번 보상을 제공하면 자신의 행동에 꼭 보상이 주어진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준다. 아이는 보상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으려고 할 수 있다.
손석한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 현제 연세신경정신과 원장으로 재직 중입니다. <잔소리 없이 내 아이 키우기>, <지금 내 아이에게 해야 할 80가지 질문> 등을 집필하고 강연과 언론매체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에디터 김은혜 포토그래퍼 김현철 도움말 손석한(연세신경정신과 원장)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닥터앙쥬전문가 Q&A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1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