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중 에는 체 온 변화에 민감해진다. 복부와 가슴의 둘레가 늘어나 체표면적이 넓어지면서 피부가 얇아져 체온조절 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갑자기 열이 오르거나 땀이 나고 오한을 느낄 수 있다. 임신부의 기초체온은 36.5~37℃ 정도가 적당하다. 임신 초기에는 황체호르몬이 증가하면서 기초체온이 높아져 배란기 때처럼 미열이 날 수 있다.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임신 초기에 38.3℃ 이상의 열이 난다면 태아의 뇌, 척추 등의 신경관에 결손을 일으키거나 유산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17년 미국 컬럼비아대학 보건대학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임신 3개월 이후에 고열을 경험한 횟수가 많을수록 자폐아 출산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발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태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측한다.
질병 감염이나 유산의 위험 증가
기초체온이 너무 낮으면 면역력 이 급격하게 떨어져 쉽게 피곤해지고 감기 같은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임신 초기에 체온이 갑자기 내려가는 것은 유산의 징조일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사의 진찰을 받으며, 유산의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 임신부라면 매일 기초체온을 재고 꾸준히 기록해 관리한다.
임신 초기 몸에 열이 난다고 해서 주변 환경의 온도를 너무 낮추거나 몸을 차갑게 하면 감기에 걸리기 쉽다. 반대로 몸에 열이 나고 오한을 느낀다고 체온을 너무 올리면 태아의 신경계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24~26℃의 온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실내외 온도 차이는 5℃ 정도가 적절하다.
2 수분 보충은 틈틈이
환절기에는 감기에 걸리지 않게 몸을 따뜻하게 하고 체온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기초체온이 높은 임신부는 조금만 걸어도 금세 땀을 흘리기 때문에 수분 보충이 중요하다. 물을 자주 마시면 수분 보충뿐 아니라 열을 내리는 효과도 있다.
3 땀 흡수를 돕는 옷 착용
임신부는 온도변화에 민감하므로 땀을 잘 배출하고 흡수성이 뛰어난 면 소재의 옷을 입는 게 좋다. 너무 두꺼운 옷보다는 얇은 옷을 여러 겹 껴입고 더울 때는 벗는 등 온도변화에 적절히 대응한다. 또한 발이 너무 차갑지 않게 양말은 꼭 신는다.
4 규칙적인 운동을 꾸준히
규칙적인 운동은 기초체온을 높이고 체력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다. 가벼운 산책, 임신부 요가, 스트레칭을 하거나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몸을 움직인다. 급격한 체온변화는 자궁 수축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출혈이나 부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일정한 온도에서 실시한다. 단,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되 급격한 심박동이 느껴진다면 즉시 중단한다.
5 샤워는 가볍게
갑자기 몸에서 열이 날 때는 가볍게 샤워하는 것이 좋다. 물이 피부 표면에서 증발하면서 체온을 낮추기 때문이다. 이때 찬물은 오히려 몸을 차갑게 해 체온을 올릴 수 있으므로 미지근한 물로 씻는다.
기획·글 앙쥬 편집부 담당 에디터 황지선(프리랜서) 내용출처 앙쥬 자료실
1개월 [202312] | 4년 만에 돌아온 베베쿡 팩토리 투어 안심견학단 26기와 함께한 춘천에서의 하루(0) |
---|---|
1개월 [202312] | Always Reliable! 스펙트라 수유용품 라인업(0) |
1개월 [202312] | 새로운 육아 라이프를 실현하는 부가부의 혁신적 솔루션(0) |
1개월 [202312] | 2023 LIMITED 페넬로페 크리스마스 에디션(0) |
1개월 [202311] | 변비 비켜! 임신부 변비 탈출법(0) |
현재 0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