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마취 주사를 맞을 수 있는지 무통분만은 자연분만이 가능한 임신부라면 누구에게나 가능하다. 단 허리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었거나 척추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고려해야 한다. 또한 마취제에 과민 반응이 있거나 신경계에 이상이 있는 경우, 카테터를 삽입하는부위에 심한 피부감염이 있는 경우, 바늘 삽입 후 지혈이 안 될 수있는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무통분만을 할 수 없다. 무통분만 후 혈압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뇌압이 상승되는 경우나 교정되지 않는 저혈량의 임신부, 최근에 항응고제를 사용한임신부도 시술받을 수 없다.
02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있는지 무통분만은 척추 부위의 경막외 공간으로 마취제를 주사하기 때문에 반드시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시술해야 한다. 간혹 경막에 구멍이 뚫리는 상황이 발생할경우 일시적인 두통이나 운동 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어 반드시 숙련된 전문의가 시술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03 태아의 건강 상태가 정상적인지 무통분만 시에는 엄마는 물론 태아의 건강 상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마취제 투여 후일시적으로 혈압이 낮아지는 경우 태반으로 가는 혈류량이 줄어들어 태아의 심장박동 수가 떨어질 수 있다. 태변을 보았거나 저체중이 의심되는 경우 오히려 무통분만이 태아에게 문제될 수 있으니주의해야 한다.
Tip 무통분만 비용의 의료보험 처리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마무리한 경우 무통분만에 따른 주사 비용도 보험 처리가 되어 본인부담금이 없다. 반면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시도했으나 예상치 않게 제왕절개로 출산을 마무리한 경우에는 보험 처리가 되지 않아 비용이 발생한다.
Q&A_류지원 미래아이산부인과 산부인과 전문의
Q 분만 진행 속도가 빠르면 무통 주사를 맞을 수 없나요?
무통분만을 하려면 미리 카테터를 삽입하는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자궁 경부가 완전히 열렸거나 혹은 태아의 위치가 많이 내려온 경우에는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자세를 잡기 힘들기 때문에 무통분만을 시행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분만 진행 속도가 너무 빠르면 약물을 쓰는 시간이 짧아서 통증감소에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Q 무통 주사가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나요?
혹여 무통분만 시 투여되는 마취제가 태아에게 전달될까 걱정하지만 직접적으로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는 양은 거의 없습니다. 경막 외로 마취제가 들어가기 때문에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단, 마취제 투여 직후 엄마의 일시적인 혈압 감소로 태아의 심장박동 수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수액을 주입하면 빠르게 정상화됩니
에디터 이경숙 포토그래퍼 이경환 신발 협찬 쁘띠마르숑(02-527-5830) 도움말 류지원(미래아이산부인과 산부인과 전문
겨울에 안구건조증이 더 심해지는 이유는?(6) |
2018 트렌드에 꼭 맞춘 크리스마스 선물 16(9) |
소소하고 즐겁게! 행복한 크리스마스의 선택(9) |
초보자도 할 수 있는 폼롤러 운동법이 궁금해요(18) |
아이에게 현명하게 사과하고 싶어요(25) |
현재 23 명의 회원이 공감하고 있습니다.
공감한 스토리는 '스크랩' 됩니다.